보도자료

  • 정보마당
  • 보도자료

“요양병원이 K-방역입니다”

관리자 │ 2021-03-31

14594143339543.jpg

HIT

4552

요양병원이 K-방역입니다

코로나19와 싸운 요양병원 현장 보고서 발간

 

대한요양병원협회가 코로나19와 사투를 벌인 요양병원들의 절박했던 상황과 방역 과정의 문제점대안 등을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한요양병원협회는 31일 코로나19와 싸운 요양병원 현장 보고서 우리가 K-방역입니다”’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현장 보고서는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해 코호트 격리를 한 바 있는 요양병원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생생한 인터뷰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요양병원협회는 서울과 지방의 9개 요양병원을 방문해 대표자실무책임자 등으로부터 코로나19 확진자 이송 코호트 격리 PCR 검사 역학조사관 활동 방역물품 지원 방역당국의 역할 피해 보상 등에 대한 증언과 함께 감염 예방을 위한 현장의 목소리를 들었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싸운 요양병원들은 우리가 K-방역이었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보건소질병관리청시청에 수도 없이 환자들을 이송시켜 달라고 요청했더니 첫 확진자가 나오고 10여일 뒤에서야 병동에 있는 환자들을 빼주기 시작하더라고요.”

전수검사에서 확진자가 나와 코호트 격리에 들어갔는데 PCR검사를 3일에 한 번만 해주니까 입원환자들이 너무 걱정되는 거예요그래서 신속진단키트를 따로 구매해 감염의심증상이 있으면 바로 검사해 양성반응 나오면 자체 격리시켰어요.”

 

코호트 격리는 아무도 나오지도들어가지도 말고 무조건 폐쇄하라는 개념이었어요. 10여명의 직원이 격리병동에 남아 밤낮 환자 돌보면서 소독까지 다 하라는 게 말이 안되잖아요

 

코호트 격리에 들어가니까 방역당국에서 레벨방역복 100벌을 주더라고요그게 전부예요. KF94 마스크, AP가운소독티슈라텍스 장갑레벨방역복페이스 쉴드 등 모두 자체 조달할 수밖에 없었어요.”

 

가장 힘들었던 게 인력 부족이었어요간병인들은 환자 만지지 않겠다며 일을 안 하더라고요보건소는 인력 지원도 안 해주고다시 이런 상황이 벌어지면 절대 못할 것 같아요정말 지옥 같은 시간이었어요.”

 

우리는 바빠 죽겠어요밥 먹을 시간도 없고하루 한 끼도 못 먹고물 한 모금 마시지 못할 때도 있어요그런데 질병관리청시청도청보건소소방서경찰서공단 등 정말 수 십개 기관에서 자료 보내라고 전화해요응대하느라 일도 못하고.”

 

코호트 격리가 끝나고, 2주간 자가격리한 뒤 검사에서 음성판정 받았는데도 무섭다며 귀가하지 못하는 직원들도 많았어요공포가 여전히 남아있는 거죠.”

 

돈 들어갈 데는 많은데 숨이 막히더라고요그래서 환자 보호자지인들한테 마스크 한 장비닐장갑도 좋으니 도와달라고 편지를 보냈어요그랬더니 1회용 장갑물티슈생수마스크 등등어떤 분들은 응원문자 주시고그렇게 하루하루 이겨냈어요.”

 

일주일 동안 매일 2시간 밖에 못 잤어요확진자가 더 나오면 죽겠더라고요 정말코호트 격리를 해야 할 상황이 다시 생기면 못 견딜 것 같아요너무 힘들어서.”

 

요양병원 직원들은 동선관리 대상이니까 감시를 받는 것 같기도 하고가족은 엄마 혹은 아빠가 요양병원에 근무한다는 이유만으로 코로나19 전파의 발원지 취급받고, ‘괜찮아너도 괜찮아?’ 수시로 질문받고.”

 

전체 직원 월급이 한 달 치 밀려 있어요급여만 그런 게 아니라 거래업체에서도 결제가 밀리니까 납품을 꺼려요제때 손실보상을 해줘야 병원도 살고환자도 살릴 수 있는데손실보상 하는데 3, 4개월이 걸린다네요.”

 

코호트 격리를 경험한 요양병원들은 병원 내부의 문제로 인해 감염이 확산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시각에 대해서도 억울하다고 호소했다.

 

요양병원 환자들은 거동이 불편해요밥도 혼자 못 드시고화장실도 못 가고그러니 간병인이 밥 먹여드리고재활치료실 모셔가고체위 변경하고기저귀 교체하고목욕해 드리고 다 해드려야죠그 과정에서 밀접접촉이 일어날 수밖에 없지 않겠어요?”

 

이에 따라 요양병원 종사자들은 간병제도 개선감염관리 수가 현실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요양병원은 한 사람의 간병인이 여러 환자를 목욕시키고기저귀 교체식사 보조하면서 병실에서 잠도 같이 자잖아요이럴 때는 마스크도 벗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요.”

 

간병인이 병실에서 자지 않고필요할 때만 가서 보조해주는 간호간병통합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요양병원 입원환자는 고령에다가 기저질환이 있어 감염에 매우 취약하죠그래서 감염관리를 잘해야 하는데 수가는 중소병원보다 낮은 게 현실입니다제발 감염예방관리료 차별을 없애주세요.”

 

대한요양병원협회는 제도 개선 제언으로 간병제도 개선 다인실 구조 개선을 위한 상급병실료 보험급여화 감염예방관리료 현실화 일당정액수가제도 개선 격리실 입원료 체감제 개선 코로나19 야간간호료 수가 인정 등을 제시했다.